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타일배분
- 유상증자
- 집합투자업자
- 미국시장
- 증권선택
- 차트
- preferred
- 수퍼화요일
- 금융투자업자
- 투자자산운용사
- 미국주식
- 로마
- 그리스
- 증권투자권유대행인
- ELW
- 주식
- Edward Gibbon
- ETF
- 블룸버그
- 미국
- 투자
- 프라이버리
- 자산운용과정
- 로마제국쇠망사
- 미국 주식
- 배당
- 채권
- 분쟁조정
- 배당주
- 펀드
- Today
- Total
Homoinvester
급등락 장세에서도 승승장구하는 ETF, ELS, ELW 투자전략 본문
조충현 지음
목차
1장 파생금융상품
1 파생금융상품은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
2 파생금융상품의 정확한 뜻이 궁금해요
3 기초자산별 파생금융상품의 종류를 알고 싶어요
4 파생거래의 4가지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5 스왑거래의 종류가 궁금해요
6 파생금융상품을 거래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7 파생금융상품 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8 새로운 자본시장법에서 파생상품펀드 투자는 어떻게 달라지나요
참고)
2007년 8월 3일 제정되어 2009년 2월 4일부터 시행 중인 우리나라 자본시장 기본법.
자본시장법은 종전의 증권거래법, 선물거래법,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신탁업법,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 증권선물거래소법의 6개 법을 폐지·통합하여 법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한 법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본시장법
자본시장법
정식 명칭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다. 금융시장 간 칸막이를 허물어 모든 금융투자회사가 다양한 금융 상품을 취급하도록 하기 위해 종전의 6개 법을 통합한 법률로 2009년부터 시행되었다. | 외국어 표기 | 資本市場法(한자) | 일명 자본시장통합법 또는 자통법으로 불린다. 정식 명칭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로 이 법은 자본시장의 공정성·신뢰성·효율성을 높여 국민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2007년 8월 3일 제정되어
terms.naver.com
따라서 현행 자본시장법상, 파생상품펀드라는 펀드 유형은 이제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단기펀드MMF 제외한 아래 4가지 펀드 가운데
증권펀드
부동산펀드
혼합자산펀드
특별자산펀드
파생상품 매매에 따른 위험평가액이나 파생결합증권 매매금액이 펀드 자산 총액의 10%를 초과하는 펀드는 파생상품펀드로 분류한다.
파생상품(원금 이상 손실을 볼 수 있는 금융 투자 상품); 선물, 옵션, 스왑
파생결합상품(손실이 투자 원금 이내로 한정); 주가연계증권(ELS), 주식워런트증권(ELW), 주가연계펀드(ELF)
■ 투자성향별 파생상품 분류
고객성향 | 공격투자형 | 적극투자형 | 위험중립형 | 안전추구형 | 안전형 |
상품등급 | 초고위험 | 고위험 | 중위험 | 저위험 | 초저위험 |
주식 | 신용거래, 투자경고종목, 투자유의종목, 관리종목 | 주식 | |||
선물옵션, ELW | 선물옵션, ELW | ||||
파생상품(ELS, DLS) | 원금비보장 ELS, DLS | 원금부분보장(ELS, DLS) |
원금보장형 (ELS, DLS) |
||
펀드 | AI형, 파생형펀드(ELF, Index 제외) | 주식형(Index 포함) | 주식혼합형, 채권혼합형 | 채권형 | MMF |
CMA
RP |
CMA(RP형), CMA(MMF형) RP |
||||
CP CD |
CP(B) 이하
|
CP(A3- ~ A+)
|
CP(A2- ~ A2+) CD(AA) |
CP(A1) CD(AAA) |
|
채권 | 투기등급 포함 회사채(BB 이하) | ||||
Wrap
신탁 |
STOCX모델형, HR30주식형, ETF적립투자마이포트폴리오 자사주신탁 |
HR30 주식혼합형,HR30 채권혼합형, 월드와이드랩, 공모주랩
|
BOND 직접투자
YF MMT |
수시입출금식 Wrap형 CMA
아름드리예금 YF MMT(안정형) |
9 알파벳‘E’로 시작되는 혼돈스러운 파생결합증권들, 쉽게 구분해주세요
구조화 상품들
주가연계펀드(ELF) Equity Linked Fund |
주가연계증권(ELS) Equity Linked Securities |
주가연동예금(ELD) Equity Linked Deposit |
주가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 |
수익구조가 주가지수, 개별주가에 연계된 펀드 | 증권사 발행, 증권의 수익구조는 기초 자산에 연계 | 은행 발행, 판매 | 증권사 발행 |
자산운용사에서 운용, 파생결합증권 편입 | 기초자산으로 개별주식종목 주가, 국내외 주가지수 사용 | 사전에 제시된 금액 계산식에 따라 수익 지급 | 레버리지 효과, High risk, High return 금융상품 |
펀드의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실적배당형 상품 | 만기시, 조기 상환시 기초 자산의 가격에 따라 원리금을 지급할 의무 | 예금상품, 원금 보장, 5천만원까지 예금보험법 적용 | LP(유동성 공급자)가 존재 |
2장 ETF(상장지수펀드)
10 ETF, 투자해도 괜찮은 상품인가요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s); 개방형 인덱스 펀드
2002년 10월 거래소 상장
운용의 투명성
저렴한 보수
수익률에 대한 예측 가능성
거래의 편이성
11 ETF는 인덱스펀드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나요
ETF는 펀드 내 자금으로 투자한 기업이 지급하는 배당금 등을 기반으로 분배금을 지급한다.
자산운용사의 재량에 따라 분기별 혹은 재량껏 분배금을 정할 수 있다.
12 ETF 투자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유동성 부족 문제
거래가 활발하지 않으면 환매가 쉽지 않다.
해외 ETF의 경우 해외 주식과 마찬가지로 차익의 22%를 세금으로 내야한다.
투자수익이 250만원 이내일 경우 세금이 면제되지만, 이를 넘을 경우, 22%의 양도소득세를 내야하는 것이다.
13 ETF의 유동성 부족 문제에 대해 알려주세요
일반 주식형 펀드의 경우 투자자가 환매하고자 한다면 손실이든 이익이 나든 기준가에 따라 돈을 찾을수 있는 반면, ETF는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환매할 수가 없다.
14 ETF의 유형별 종목들을 구분해주세요
15 신종 ETF(국고채 ETF·인버스 ETF)에 대해 알려주세요
16 원자재 ETF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요
17 해외 ETF 거래시 지켜야 할 유의점은 무엇인가요
18 ETF 투자시 알아야 할 용어는 어떤 것이 있나요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 ETF가 편입한 주식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해 실시간으로 산출된 ETF의 가치
지정판매회사(AP; Authorized Participant); ETF의 설정과 해지를 대행하는 증권회사
유동성 공급자(LP; Liquidity Provider); 일반투자자들이 실시간으로 기준가에 근접한 가격에 거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괴리율; ETF 주가와 NAV의 차이로 ETF 가격이 ETF 자산 가치를 얼마나 충실히 따라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PDF; Portfolio Deposit File; ETF를 구성하는 구성종목과 수량, 원화 현금 등이 기록된 파일, 주식 바스켓의 내용인 셈
19 HTS 거래를 위한 계좌개설 절차를 알려주세요
20 효과적인 ETF 단기투자 전략이 궁금해요
21 ETF에 증권거래세가 부과되면 어떤 변화가 있나요
22 자본선진국의 ETF 발전사례를 알고 싶어요
23 향후 ETF 시장의 전망을 알려주세요
1993년,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ETF가 상장됨
우리나라도 점차 금융시장의 환경이 저축에서 투자로, 단기에서 장기로, 액티브에서 인덱스로 바뀌고 있다.
3장 ELS(주가연계증권), ELF(주가연계펀드)
24 주식보다 안정적이라는 주가연계증권(ELS)에 대해 알려주세요
주가연계증권(ELS; Equity Linked Securities); 2003년 증권거래법 시행령에 따라 등장, 원금보장수준, 목표 수익률, 투자기간 등 투자자가 선택 가능, 만기는 3개월~2년이 보통, 주로 1년 이하 만기 단기상품이 주, 만기 이전이라도 6개월마다 주가가 투자자와 약정한 목표 수준을 달성하면 원금과 일정금리를 조기 상환, 구조화 상품이기에 손익구조가 다소 복잡
-원금보장형
-원금 부분보장형
-원금 조건부보장형
25 ELS는 조기상환과 만기상환이 둘 다 가능하다는데, 그 운용구조가 궁금해요
ELS의 수익구조
판매사가 원금의 일정 부분(프리미엄)으로 주가지수에 대한 옵션(Warrant)를 매입하고 프리미엄을 제외한 원금은 안전 자산에 투자해 만기에 투자 원금 상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ELS로 초과수익을 얻고자 한다면 옵션의 투자 비중을 달리하여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예1) 원금보장형 ELS
원금 100%에서 5%를 제외한 95%를 1년 만기 국채에 투자한다. 1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5.26%라면, 95 X 5.26 = 5 이므로, 만기시 100을 상환 할 수 있다.
예2)
원금 100%에서 15%를 프리미엄으로 사용하여 옵션 매입할 경우, 89%만 상환 보장 가능
26 넉아웃형, 불스프레드형 등 ELS의 수익구조를 유형별로 분류해주세요
1, 넉아웃형(Knock-Out)
주가지수가 하락할 경우 원금의 일정 비율을 보장받는다.
2, 불스프레드형(Bull-Spread)
만기시점의 주가수익률에 따라 수익이 정해진다.
3, 리버스 컨버터블형(Reverse-Convertible)
주가가 미리 정해놓은 하락폭 이하로만 떨어지지 않으면 주가지수가 하락해도 약속한 금리를 지급한다.
4, 디지털 콜옵션형(Digital Call Option)=박스형(Box)
주가지수가 상승할 경우 상승률에 관계없이 고정된 수익을 얻고, 주가지수가 하락할 경우 원금을 보장한다.
5, 조기상환형
만기까지 여러번의 조기상환 기회가 있는 구조다.
-조기상환 스텝다운 넉인형(Step Down, Knock In)
-조기상환 수퍼 스텝다운형(Super Step Down, No Knock In)
; 만기시 주가를 따지므로, ELS 투자기간 중의 주가급락(장중가)으로 발생하는 손실 가능성 없다.
27 ELS의 투자원금보장 여부와 수익실현 구조가 궁금해요
원금 보존 추구(최소한 원금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VS 원금 보전(이 경우는 100% 보장)
환매시 손실이 크다, 중도 환매시 환매 수수료와 함께 원금 초과 부분에 대한 세금을 내야한다.
28 ELS의 약정조건만 맞으면 만기 전에 조기수익실현이 가능하다는데, 사실인가요
1, 조기상환형
예)
정해놓은 기간, 6, 12, 18, 24, 30개월, 만기일에 따라, 기초자산의 주가가 90%(6개월, 12개월), 85%(18개월, 24개월), 80%(30개월, 만기평가일)이상 유지하면 연 18%의 수익률을 기간별로 환산해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형식, 단, 투자기간 동안 기초자산이 최초 기준가격의 60% 미만 하락시 손실이 난다.
6개월 뒤 조건 달성 기준점인 90%가 안되는 경우는 조기상환 평가일이 다시 6개월 뒤로 자동 연장된다, 따라서 6개월 또는 12개월마다 5%씩 조건이 하향 조정되며, 달성 조건은 점점 유리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수익달성 조건을 채우지 못하고 3년 만기까지 간다면 원금 손실을 피할 수 없다.
2, 만기상환형
조기상환 조건에 미달될 경우, 만기일이 최종확정일이 된다.
예) 만약 만기 2년까지 조기상환이 되지 않고 투자기간 동안 기초 자산이 기준 가격의 60% 미만 하락한 적이 있다면, 만기 기준가격 결정일에 하락률이 높은 기초자산 기준으로 만기시 원금의 예를들어 65%를 지급하고 상품은 종결된다.
29 ELS ‘넉아웃 가격’과 ‘넉인 가격’을 쉬운 사례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30 리베이트, 참여율, 더미쿠폰은 무슨 뜻인가요
리베이트(Rebate); 기초자산의 주가지수, 주가, 평가지수가 상승 또는 하락하여 넉아웃 가격 이상 또는 이하가 되었을 때 지급되는 약정 수익률
참여율(Participation Ratio); 만기 혹은 중간 조기 상환 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주가지수, 주가, 평가지수가 행사가격을 넘어 넉아웃 가격에 도달하기 전까지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 대비 늘어나는 비율
수익률=최초기준가대비 상승률 X 참여율
더미쿠폰(Dummy Coupon)
원금 손실 구간에 해당하지 않고 만기 상환될 경우 원금과 함께 보너스로 주는 금리
31 성공하는 ELS 투자요령에 대해 알려주세요
기초자산의 전망과 변동성 꼼꼼히 확인
상품별 설계구조가 다르므로 약관과 설명서 자세히 확인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는 수익구조를 가진 상품 선택
중도해지할 만큼 급한 돈으로 투자하지 말것
조기 상환 조건이 너무 까다로운 상품은 피할 것
32 ELS가 특히 장기투자자에게 ‘부적합’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33 ELS 투자시 주의해야 할 점을 짚어주세요
원금 보장형과 원금 비보장형으로 나뉜다.
채권(투자금의 60~90%) + 옵션(나머지 10~40%)으로 구조화된 파생금융상품이기 때문에 채권에 준한 과세처리인 15.4% 소득세가 과세된다.
34 DLS와 ELS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DLS(Derivatives Linked Securities); 파생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함, 증권사 발행, 은행과 증권사에서 판매
ELS와 비교했을 때 기초자산으로 삼는 상품 대상이 넓은게 차이점
DLS의 기초자산으로는 장내, 장외 파생상품, 환율, 일반상품(원유, 농산물, 축산물, 광물,,,,), 신용위험(특정 회사의 파산, 채무재조정,,,,)
예)
투자자가 주식에 투자하면서 ELS 투자를 병행하는 경우에는 투자의 모든 기반이 주식시장에 있다는 점에서 위험분산에 한계가 있지만,
DLS는 주식시장외 별개의 기초자산에 투자할 수 있으므로 위험분산 효과가 훨씬 크다.
단,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성이 심해 방향성을 예측하기 힘들 수 있으며, ELS보다 상품 출시가 드물다.
35 진화하는 ELS과 DLS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36 ELF도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나요
주가연계펀드(ELF; Equity Linked Fund); 자산운용사가 만든 펀드, ELS를 주요 투자대상으로 함, 폐쇄형 상품, 중도 해지시 환매 수수료 부담이 큼, 환매 수수료는 대게 환매금액의 3~10%, 소득세 15.4% 부과
37 ELF의 수익구조를 알고 싶어요
대부분의 자산을 국공채, 우량 회사채 등 안전 자산에 투자하며 만기시 원금 확보
나머지 잔여 재산을 증권회사 발행 ELS나 워런트에 투자
펀드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됨
예금자 보호 받을 수 없음
채권 이자에 대한 이자소득세 15.4% 과세, 주식 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38 ELF의 가입절차를 알고 싶어요
예) OOOO 투자신탁 (ELS 파생형)
주식형펀드가 주식에 투자하는 것처럼 ELF 또한 ELS에 투자
ELS 의 그림자 상품이라고도 함
ELF는 ELS와 달리 펀드이기 때문에 운용보수가 부과된다는 점에 유의
1, 기초자산의 종류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F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F
2, 중도환매 가능 여부
가능하면; 개방형 ELF (현재 판매되고 있는 ELF 대부분)
불가능하면; 폐쇄형 ELF
3, 추가자금 납입 가능 여부
가능하면; 추가형 ELF
불가능하면; 단위형 ELF
4장 ELD(주가연계증권), CMA(종합자산관리계좌)
39 ELD의 수익구조를 알려주세요
주가지수연동에금(ELD; Equity Linked Deposit)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고 원금 손실에 대한 위험이 없다.
예금자 보호법 한도인 5,000만원 내에서 원금 보장 가능하다.
1년~1년 6개월 만기가 보통이며 연 수익률은 4~5%가 일반적이다.
안정추구형과 수익추구형으로 나뉜다.
중도해지시 수수료를 내야하므로 원금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
가입시 주가 전망을 철저히 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
40 ELD를 잘 고르려면 참여율과 수수료를 잘 보라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참여율이 높을수록 고객에게 유리
수수료가 낮을수록 고객에게 유리
41 CMA와 은행예금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가요
투자목적이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얻기 위함이라면 CMA의 고금리를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42 CMA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1, 환매조건부채권형(RP; Repurchase Agreement)
확정금리형
2, 머니마켓펀드형(MMF; Money Market Funds)
실적배당
3, 머니마켓랩형(MMW; Money Market Wrap)
실적배당
4, 종금형
실적배당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1인당 5,000만원까지 보호된다.
43 내게 꼭 맞는 CMA를 선택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5장 ELW(주가워런트증권)
44 ELW란 무엇인가요
주가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 사전에 정해진 가격(행사가격)으로 주식이나 주가지수 등의 기초자산을 사거나(Call), 팔(Put)수 있는 권리(옵션)을 나타내는 유가증권(Securities)이다.
유동성공급자(LP) 제도가 있어 이들이 여러 가격결정 요소들을 고려해 합리적인 가격 수준을 산정하며 관련 규정에 따라 매수, 매도 호가를 제시함으로써 적정한 가격대가 형성되도록 한다.
45 ELW와 주식·선물·옵션을 비교해서 설명해주세요
주식
ELW는 주식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선물
선물은 기초자산의 수익구조와 그대로 연동되어 손실폭에 제한이 없는 반면, ELW는 대가를 주고 권리를 산 것이기 때문에 권리를 포기하면 그뿐이다.
선물은 최소 1,500만원의 증거금이 필요하지만 ELW는 증거금이 필요 없기 때문에 매매 최소 수량인 10주 이상 매입시 1만원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ELW와 선물 모두 레버리지 효과를 노리고 투자한다는 점은 비슷하나, 선물은 제한된 상품으로 제한된 효과를 보는 반면, ELW는 다양한 레버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물은 사는이와 파는이의 제로섬 게임이나, ELW는 LP와 투자자 모두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윈윈 구조다.
옵션
ELW는 콜과 풋에 대한 매수만 가능한 반면 옵션은 처음부터 매수뿐아니라 매도가 가능하다.
ELW는 LP로부터 옵션에 대한 권리를 산 것이기 때문에 원금 이상 손실이 날 경우 계약 이행을 하지 않으면 손실이 제한되지만 옵션은 최초 매도 포지션을 취한 경우 원금 이상 손실이 나더라도 계약 이행의 의무가 있으므로 원금보다 더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
46 ELW와 관련된 기본용어를 정리해주세요
레버리지(유효기어링; Effective Gearing이라고도 부름); 주가 변화율에 대한 ELW의 가격 변화율
레버리지=기초자산 가격 X 델타 / (ELW 가격/전환비율)
예)
레버리지가 10.0
기초자산 가격이 1% 움직이면 ELW 가격이 약 10% 변한다.
전환비율; 기초자산의 주식 1주당 ELW의 가치
유동성공급자(LP); ELW 시장 조성 역할
델타; 기초자산 주식이 현재가격에서 매 1원 움직일 때 해당 ELW는 몇 원 움직이는지 알려주는 수치
워런트 가격변화=(델타X기초자산 변화) X 전환비율
손익분기율(프리미엄); 손실보전을 위해 만기까지 콜 할 경우, 주가나 주가지수가 얼마나 올라야 하는지 보여주는 값
자본 지지율; 주식과 ELW의 수익률이 같아지는 시점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주식이나 주가지수의 기대상승률, 손익분기율과 비슷한 개념이나, 보다 정교하게 측정하는 방식
47 ELW 거래는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거래 방식은 주식과 비슷하다
거래시간; 오전 9시~오후 3시
매매 최소 수량; 10주 단위
호가단위; 5,000원 미만 시 5원 단위로 제시
주식과 다른점은 가격의 제한 폭이 없고 만기일에 상장이 폐지된다.
파생상품이므로 거래세가 없다.
기본예탁금; 1,500만원
만기까지 1개월이 남는 시점부터는 LP가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기 1개월 전부터는 ELW 가격이 적정 가격보다 너무 높거나 낮은 가격에서 거래되는 왜곡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48 양날의 칼인 레버리지(지렛대) 효과에 대해 알려주세요
콜 ELW는 주가가 올라야 돈을 벌고,
풋 ELW는 주가가 하락해야 이익이 난다.
49 ELW의 콜·풋 투자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요
50 ELW의 콜·풋 투자 성공사례를 알려주세요
51 ELW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기초자산가격(Underlying Price)
행사가격(Strike Price)
만기시점까지의 잔존기간(Time to Expiry)
시장금리 수준(Interest Rate)
기초자산의 변동성(Volatility)
기초자산의 배당률(Dividend)
52 ELW 실전투자 절차를 자세히 알려주세요
53 ELW의 투자위험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54 ELW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 궁금해요
투기적 거래자가 아니라면 ELW를 금융자산의 10% 이하로 분산 투자하는 헤징 전략이 무난하다.
예)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고, 헤지 차원으로 삼성전자 ELW 풋을 사는 것이다.
55 수익률 좋은 ELW를 선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ELW의 가격이 기초자산의 현재가, 행사가격(패리티)의 85~115% 정도 범위인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잔존만기가 짧아질수록 위험 정도가 높으므로 2개월 이상 남은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LP의 보유 수량 역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56 ELW에 투자하면서 원금을 보장받는 방법은 없나요
57 위험은 줄이고 안정성은 늘리는 ‘제한된 손실위험 전략’이란 무엇인가요
58 특정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가 주식하락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현명한 ELW 투자법을 알려주세요
59 델타(Delta :Δ)가 ELW 투자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60 ELW의 2가지 중요한 가치인 내재가치와 시간가치에 대해 알려주세요
61 내재변동성의 지표인 베가에 대해 알려주세요
62 시간가치를 알려주는 세타란 무엇인가요
63 ELW의 향후 발전전망이 궁금해요
2005년 12월 한국에 처음 상장된 ELW
2011년 8월 말, 시가총액이 34조 5,971억에 이른다.
스캘퍼에게 전용선을 제공한 점을 비롯 공정치 못한 운영으로 일부 운용사가 제제를 받게 되는 등 그간 이면에 가려졌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책책책 독서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년 후 포르쉐 타고 싶다면 미국 주식 지금 당장 올라타라 (0) | 2019.04.20 |
---|---|
앞으로 3년, 미국 랠리에 올라타라 (0) | 2019.04.20 |
그래서 어떤 주식을 살까요 (0) | 2019.04.16 |
미국 주식이 답이다 (0) | 2019.04.05 |
로마제국쇠망사3 (0) | 2019.04.01 |